장골의 PI 변위 없음 : 네이버 북스, 네이버 books.search.shopping.naver.com에서 상세 제공
장골의 개념을 생각하면서 저는 이전 책에서 언급한 L자형 관절면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굴곡과 신전을 통해 천골두의 미끄러짐 운동과 머리의 하강이 일어난다고 생각하곤 했습니다. 그러나 “슬라이드의 의의”라는 주제를 통해 기존 천골의 생체역학적 움직임이 부정확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생체역학을 공부함에 있어서 새로운 생체역학 지식을 수용할 수 있는 여백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스스로 축적한 지식공간 내에서 기존의 지식을 바꾸고자 하는 생각과 의지를 가지고 적극적인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카탈로그의 첫 번째 장. 장골의 변위로 인한 AS, PI 및 길고 짧은 발. 제 2 장. 골반 천골 관절 기능의 종합 모델. 3 장. 천장관절의 안정성을 위한 Force Occlusion Chapter 4. 안정화된 천장관절의 형태학적 폐쇄 5장. 골반의 생체역학적 움직임 6장. 천골의 2차원 운동: 천골의 AS PI(IP) 슬라이딩. 7장. 보행 시 골반의 3차원 운동: 골반 내 비틀림 8장. 걷기와 달리기 시 장골의 움직임 9장. 천골의 기울어진 축을 따라 3차원적으로 움직이는 천골 염전, 10장. 장골의 2차원 AS 및 PI 변위. 11장. 3차원에서 장골의 AS 및 PI 변위. 12장. 양측 평발로 인한 골반 내 비틀림. 13장. 양측 평발의 장골 변위. 14장. 양측 평발에 의한 골반 생체역학적 현상 15장. 추나요법이나 도수치료와 BDT의 차이점 조박사 개념 16장. 조박사의 개념에 의한 BDT의 진단 ① – 양측 평발이 나타날 때 Faber’s test의 생체역학적 의의 Chapter 17. 조박사의 개념에 의한 BDT 진단 ② – 양측 평발이 동반된 경우 Faber’s test 재확인 제18장. 조 원장의 개념에 의한 BDT 진단 ③ -골반내 염전에서 나타나는 천골 염전 유형의 진단 제19장. Cao 박사의 개념에서 진단적 의의로서의 단일 족부 검사 – 신경학적 불균형을 통한 기능적 단족의 이해 20장. 21장 휴식 BDT에 대한 접근. BDT 불안정한 치료 접근법, 22장. BDT의 임상적 적용 23장. 2021년에는 as와 pi가 어떤 모습일까요?
추나치료 및 교통사고 1인실입원야간진료 광주 남구 이맘동 “365마디척한의원”(광주시)에서 휴일 일요일 진료 ↓↓진료 및 상담 카톡채널↓↓
365 메디척한방원주의원 (본점) 메디척한방원주의원 본점 광주광역시 남구 이마동 883 (제이드타워 3층, 4층) pf.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