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토지대장 및 건물대장의 관리 및 발급 방법과 무료 열람 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갑자기 필요한 서류를 받아야 하는 상황만큼 당혹스러운 상황은 없습니다. 토지대장 및 건물대장이 불필요해 보여도 언제 필요할지 모르니 오늘의 콘텐츠를 자세히 살펴보세요. 바로 시작해 볼까요! * 토지대장 및 건물대장의 관리 및 발급 방법, 무료 열람 팁! 먼저 토지대장의 관리 및 발급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정부24 홈페이지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주의사항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과거에 토지주소를 등록했지만 토지취득 및 정리, 토지구획정리, 규모변경폐쇄, 토지개발사업 등으로 토지주소가 없어진 경우 폐쇄대장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증명서를 위조하거나 변호할 경우 최대 10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다만 열람서비스 출력물은 법적 효력이 없다는 점도 알아두세요! 이제 토지대장을 받기 위해 작성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신청서에 여러 가지 항목을 입력해야 합니다. 먼저 토지대장인지 임야대장인지 선택하고, 해당 위치의 주소를 입력하세요. 집번호도 입력해야 하니 꼼꼼히 작성하세요. 연도형을 출력할지 여부도 확인하고 폐쇄대장 분류를 선택해도 됩니다. 다음으로 해야 할 일은 특정 소유자가 있는지 여부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있으면 주민등록번호 또는 법인등록번호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공고지 가격을 기준으로 연도를 확인하고 직접 입력을 선택하는 경우 연도를 명확하게 입력하세요. 2002년부터 신청을 접수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마지막 숫자를 표시할지 여부를 확인하세요. 마지막으로 수령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체 인쇄, 제3자 제출, 전자문서지갑 또는 직접 수령. 직접 수령은 후불 시스템으로 처리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모든 것을 확인하고 입력했다면 신청 버튼을 클릭하세요. 이번에는 건축물대장의 관리 및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정부24 홈페이지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건축물대장을 받을지, 볼지 미리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주의사항을 보시면 위조나 변조로 최대 10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건축물 현황도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선택한 원장 종류에 따라 대장 종류가 다르고, 동/지번은 직접 신청만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부속건물은 발급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구청 토지등기과나 주민센터를 방문하셔야 합니다. 건축물 현황도가 필요하신 경우 시/군/구청이나 주민센터에서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건축물대장을 발급하기 위해 입력해야 하는 정보를 살펴보겠습니다. 보시다시피 건물 소재지, 대장 종류, 대장 종류, 건물명, 심지어 수령 방법까지 입력해야 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등록부를 어떻게 나누느냐에 따라 유형이 다르니 이 부분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접수방법을 체크하고 입력하셨다면 민원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번에는 토지대장, 건물대장 무료 열람 팁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토지대장 무료 열람 팁을 살펴보겠습니다! 보시다시피 소유자가 사본을 발급하거나 전자민원, 즉 온라인을 통해 열람을 신청하면 무료입니다. 이 점 유의하세요. 다음으로 건물대장 무료 열람 팁을 살펴보겠습니다! 건물대장도 온라인에서 발급 또는 열람하면 무료라고 합니다. 오늘은 토지대장, 건물대장의 관리 및 발급 방법, 무료 열람 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더위 조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