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행복주택 신청방법 및 입주자격(+청년, 예비신혼부부)

안녕하세요. 저는 2023년 10월 SH행복주택에 입주한 행복주택 입주자입니다. 행복주택 신청부터 입주까지의 과정을 이야기 해볼 예정이고, 이후 어떤 집으로 전입하게 될지 과정을 담아볼 예정입니다. 임대주택이 끝났습니다. 해피홈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나 당첨을 기다리시는 분들께 좋은 에너지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 기사에서 배울 수 있는 점은 네 가지입니다. 1) 행복주택이란? 2) 행복주택 입주자격 3) 행복주택 소득기준 4) 모집공고 확인

가능한 한 적은 단어로 최대한 간단하게 설명하려고 노력하겠습니다. 행복한 주거란?

행복주택은 국가·지방자치단체나 주택도시기금 등의 자금을 지원받아 청년, 신혼부부 등의 주거안정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공공임대주택이다.

쉽게 말하면 정부 지원을 받아 시세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주택을 말한다. 결혼하기 전에 집이 필요해서 해피하우징을 알아봤습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기숙사 생활을 마친 분들이나, 취업이나 이직 후 살 곳을 찾고 계신 분들에게서 많이 들어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확실히 시세가 낮은 지역도 있지만 LH, SH 같은 공공기관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임대사기 문제에 대한 걱정도 덜하고, 상대적으로 대출을 받기도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반 주택. 가전제품 등 옵션이 없어 다 사야한다는 단점도 있다. 우선 역 근처에서 저렴하게 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인기가 많아 경쟁이 치열하다. 행복주택 입주 자격을 딱 두 가지만 소개하겠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신혼부부와 가장 필요한 청년입니다. 최근 LH강동천호행복주택 채용공고를 보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입주자격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 않으며, 공통적인 자격으로 볼 수 있습니다. 대학생은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다음 학기에 대학에 입학 또는 복학할 예정인 자를 말합니다. 구직자는 2년 이내에 대학이나 고등학교를 졸업해야 합니다. 청소년의 경우 19세부터 39세까지 누구나 대상이 된다. 직장에 새로 입사하여 지원하는 경우, 총 5년 미만의 유급 고용을 유지하고 1년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아티스트도 지원 가능하며, 공고일 기준 현재 결혼한 상태이거나, 결혼한 지 7년 미만이거나, 6세 미만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가 지원 가능합니다. 아직 등록하지 않은 경우에도 지원 가능합니다. 당신의 결혼. 당선되면 입주 전 혼인증명서만 제출하시면 됩니다. 기본 요건은 이렇고, 이제 소득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행복한주택 소득기준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의 소득기준이 다릅니다. 대학생의 경우, 지원자 부모와 지원자의 월평균 소득 합계액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미만이어야 합니다. 1인 가구의 경우 최대 120%, 2인 가구의 경우 최대 110%를 기준으로 한다. 보통 3인 가구가 많다고 가정하면 3인 가구부터 100%를 기준으로 삼는다. 또한, 개인 자산총액이 8,500만원 미만이어야 하며,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아야 합니다. 대학생과 달리 젊은이들은 자신을 기반으로합니다. 단독으로 거주하거나 가구주인 경우에는 가구원 수 기준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마찬가지로 1인일 경우 120%, 2인일 경우 110%입니다. 다만, 친부모의 가구원인 경우에는 1인으로 계산하여 120% 기준이 4,024,661원이 됩니다. 지원하려면 급여가 원(KRW) 이하이어야 합니다. 신청자 세대의 자산은 2억 9900만 원 이하, 자동차는 3683만 원 이하로 신청 가능합니다. 신혼부부 또는 예비신혼자는 일벌소득자와 맞벌이소득자로 구분됩니다. 그 기준은 가구, 즉 결혼으로 형성될 가구이다. 신청인과 배우자가 모두 취업할 경우 2인 맞벌이 신혼부부 기준인 6,506,989원 기준의 130% 미만이 될 수 있습니다. 1인 소득의 경우 2인 기준은 550만원 미만이다. 오늘은 기본적인 부분만 설명드렸고, 다음 편에서는 좀 더 자세하게 소득기준을 계산하거나 알아보는 방법을 준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대략적인 소득 기준을 파악해보세요! 채용공고를 확인해보자 이제 소득과 지원자격을 살펴봤으니 이제 채용공고가 어디서 나오는지 알아야겠습니다. 해피하우징은 LH, SH 가입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LH청약센터의 경우 임대주택 공지사항을 확인하시면 현재 공지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SH의 경우에도 SH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주택임대채용공고를 확인하시면 현재 공고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입주자격과 신청방법에 대해 아주 간략하게 적어봤습니다. 다음편에서는 공지사항을 살펴보며 어떤 기준이 적용되고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필요하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